- 기관의 사업에 대한 교육 및 현장 실습을 통해 기관에 대한 이해 증진
- 복지관 프로그램 참여 및 기획을 통해 업무에 대한 이해 도모와 가치관 확립
- 장애인의 특성에 대한 조사 및 정리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이해 증진
- 장애인 당사자와의 면담 등을 통해 장애인과 공감할 수 있는 기회제공
- 재무회계규칙 및 예산집행 과정 등에 대한 교육을 통해 복지관의 행정시스템 이해
- 홍보전략 및 지역 언론기관 활용 방안 등 습득
- 재가장애인 가정방문을 통해 인테이크 및 상담 기술 습득
- 사례회의, 개입계획 수립 등을 통해 사례관리의 과정에 대한 이해 및 개입기술 습득
- 농촌복지 관련 도서 읽기 및 발표를 통해 농촌복지현장에 대한 이해
- 진안군장애인종합복지관(실습지도실 : 도서휴게실)
진안지역사회 및 외부 기관 등
형태 | 내 용 | 비고 |
---|---|---|
교육 | - 실습에 필요한 전반적인 이론 교육 - 매일 실습 전 조회와 종례시 실습당일 실습내용 점검과 다음날 실습일정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- 과제제공 및 점검 |
|
프로그램 참여 및 기관탐방 |
- 사회심리재활사업, 직업재활사업, 재가복지사업, 주간보호사업 등의 복지관 프로그램 참여 - 타 복지기관 탐방 |
|
토의 및 학습 | - 실습일지와 과제물에 따른 실습 수퍼바이저와 토의 - 과제 수행 등 통해 |
|
평가 | - 일일평가 : 담당자와 분야별 평가, 일지 기록점검, 수퍼바이저와 전체 평가 - 실습지도에 따른 평가 실시 * 각 사업별 수퍼바이저를 통한 내실 있는 수퍼비전 |
실습분야 | 내 용 | 비고 |
---|---|---|
법인 및 기관 이해 | - 법인에 대한 교육 및 기관 설명 - 사회심리재활사업 등 복지관 사업에 대한 이해 - 직업재활사업에 대한 이해 - 재가복지사업에 대한 이해 및 사례관리 - 후원․홍보사업에 대한 이해 - 기타(회계, 시설관리 등) - 기관 프로그램 참여 (사회심리재활프로그램, 주간보호, 재가복지등) |
|
사회복지사의 자세, 역할, 업무 이해 |
-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 대한 이해 -사업계획서 작성에 대한 이해 -사업계획 수립 및 진행 |
과제물 |
장애인에 대한 이해 | - 장애인에 대한 특성 조사 - 장애인 면담 및 프로그램 참여 - 장애인 복지론 학습 - 과제 수행 등 통해 |
과제물 |
사회복지행정과 정책 이해 | - 문서관리 교육 | |
사례관리 실천 | -재가장애인 가정방문 -사례회의 -사례관리 계획 수립 -자원파악 등 |
|
농촌복지현장에 대한 이해 | - 농어촌 복지관련 도서 읽기 등 농촌지역 복지 실천 | |
평가 | - 기관장 및 실습지도자 면담 등 - 종합평가 |